삶의 격

독립성으로서의 존엄성

  • 주체가 된다는 것은?

    • 보고 듣고 경험하는 모든 것의 중심이 되는 것. 다시 말하면 의식이 있는 존재하는 것.

    • 행위의 동기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.

    • 무엇에 끌려가는 것처럼 그저 앞만 보고 터널터널 나가아는 것이 아니라,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에 대해 의구심을 품어보는 것.

  • 난쟁이 던지기 대회가 즐거운 이유?

    • 사람이 물건처럼 던져지는 걸 보는데 있음.

    • 난쟁이를 장난감으로 만들어버리기 때문

  • 결정의 자유는 존엄성의 필요조건이다. 그러면 충분조건도 될 수 있지 않을까?

    • 존엄성이라는 것이 달성되기 위해서는, 결정의 자유가 전제 되어야한다. 그렇지만 결정의 자유만 전제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인듯


필수, 충분 조건

example image
  • 좌측 필요조건, 우즉 충분 조건

  • 좌측은 성공을 위해선 노력이 필수조건임. 우측은 성공을 위해선 노력이 충분 조건임 (노력이 전부는 아님.)


  • 굴욕에는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존재한다.

  • 굴욕은 상대방의 무력감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.

  • 존엄이란 굴욕을 당하지 않을 권리다.

  • 공공의 선을 위해 자유를 포기하는 대신 결국 개인에게도 이익이 돌아간다.

  • 민중은 사상 교육이나 사실 은폐를 통해, 무조건적 호감이나 반감 같은 것들에 넘어가 쉽게 휩쓸릴 수 있다.

  • 약점을 말한다는 것은 두 사람 사이에 친밀한 관계가 성립되고 난 후에 비로소 가능한 행위다.

  • 생각의 자립성이 유지되려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말하느냐 하는 것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.

    1. 이것은 정확히 무슨 뜻인가?

    2. 내가 그걸 어떻게 알게 되었나?

Last updated

Was this helpful?